펀딩 메커니즘은 최종체결가와 시장평균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존재하는 장치입니다.
펀딩이율
펀딩이율이 양수를 나타내고 있을 때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이더가 숏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이더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반대로 펀딩이율이 음수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숏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이더가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이더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트레이더는 <계약 세부정보> 탭에서 다가오는 펀딩비 정산 시점의 확정된 펀딩이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레이더가 현재 보유한 포지션이 있을 경우, <펀딩 리베이트> 부분에서는 다가오는 펀딩비 정산 시점의 예상 펀딩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펀딩 이율공식
$$ \small\textsf{펀딩이율(F)} = {\textsf{프리미엄지수(P)}+\textsf{clamp(금리(I) - 프리미엄지수(P), 0.05%, -0.05%)}} $$
MCS는 프리미엄 지수(P) 및 금리(I)를 매 분마다 계산하고, 8시간마다 시간가중평균가격 (TWAP)을 분단위로 측정하여 수행합니다. 다음으로 8시간 금리, 프리미엄 / 디스카운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펀딩 비율이 계산됩니다. +/-0.05% 제어 장치가 추가됩니다.
펀딩 이율한도
\begin{align}&\small\textsf{펀딩이율}\leq\textsf{(기준 개시 증거금} - \textsf{기준 유지 증거금)}\times\textsf{75%}\\&\small\textsf{펀딩이율}\geq\textsf{(기준 개시 증거금} - \textsf{기준 유지 증거금)}\times\textsf{75%}\end{align}
펀딩비 정산
펀딩비 정산은 한국시간 <01:00 , 09:00, 17:00>로 8시간 간격을 두고 하루 3번 정산됩니다. 펀딩비 정산 시점에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이 없는 트레이더는 펀딩비를 지불/지급받지 않고, 펀딩비 정산 시점에 포지션을 보유한 트레이더에 한해 정산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펀딩비 공식
$$ \small\textsf{펀딩비} = {\textsf{포지션가치} \times \textsf{펀딩이율}}$$
<펀딩비 정산 예시>
데이비드는 2 BTC 가치의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펀딩 이율은 +0.02% 입니다. 데이비드가 펀딩비 정산 시점에 지불해야하는 펀딩비는 아래 식에 따라 계산하면 0.0004 BTC이 됩니다.
$$ \small\textsf{펀딩비} = {\textsf{2 BTC} \times \textsf{0.02%}} = \textsf{0.0004 BTC} $$
포지션가치 산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포지션가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포지션가치
트레이더가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의 시장평균가 기반의 현재 가치입니다.
포지션가치 계산 공식
$$ \small\textsf{포지션가치} = {\textsf{계약 수량} \over \textsf{시장평균가}}$$
<포지션가치 계산 예시>
현재 데이비드는 20,000 BTC/USDT 계약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장평균가격이 10,000 USDT일 때 데이비드의 포지션가치는 아래 식에 따라 2 BTC가 됩니다.
$$ \small\textsf{포지션가치} = {\textsf{20,000} \over \textsf{10,000}} = \textsf{2 BTC} $$
프리미엄지수(P)
프리미엄지수는 계약가격(최종체결가)을 현물 가격에 맞추기 위해 8시간 이후에 정해질 펀딩 이율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무기한계약의 최종체결가와 시장평균가는 프리미엄* 또는 디스카운트* 등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리미엄: 최종체결가 > 시장평균가
*디스카운트: 최종체결가 < 시장평균가
프리미엄 지수 공식
$$ \small\textsf{프리미엄지수(PI)} = {\textsf{(Max(0, 영향매수가* - 시장평균가) - (Max(0, 시장평균가 - 영향매도가*))}\over\textsf{현물가격}}+\textsf{펀딩 베이시스} $$
\begin{align}
&\scriptsize\textsf{*영향매수가 = 매수자가 '증거금 영향 금액'을 거래한 평균가격}\\
&\scriptsize\textsf{*영향매도가 = 매도자가 '증거금 영향 금액'을 거래한 평균가격}
\end{align}
금리
금리는 상대통화와 기준통화의 금리 함수 그리고 펀딩 주기를 계산한 값입니다.
금리 공식
$$ \small\textsf{금리(I)} = {\textsf{(상대통화 금리 지수 - 기준통화 금리 지수)}\over\textsf{펀딩 주기}} $$
\begin{align}
&\scriptsize\textsf{*상대통화 금리지수 = 상대통화의 이율}\\
&\scriptsize\textsf{*기준통화 금리지수 = 기준통화의 이율}\\
&\scriptsize\textsf{*펀딩 주기 = 3 (24시간 동안 8시간 간격으로 3번 정산)}
\end{align}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