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버스(Inverse)는 해당 파생상품의 가격상대통화가 아닌 기준통화로 정산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MCS는 인버스 거래쌍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BTC/USDT로 표시가 되지만, 실제 거래쌍은 USDT/BTC로 이루어집니다. 이 때문에 주문할 수 있는 계약의 수는 현재 비트코인 가격에 따라 다르며 손익 또한 BTC로 정산하게 됩니다. 인버스는 소수점 이하 자릿수(예시. 0.00000123 BTC)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래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고, 1계약을 구매하여 1 USDT 정도의 낮은 금액으로도 거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트레이더는 전통 선물 계약과 다르게 지수를 계산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시장 가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인버스와 반대되는 개념인 바닐라는 현물 시장에서 거래를 할 때, 거래쌍은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자산을 기준 통화로 표현합니다(BTC/KRW의 경우 기준 통화: BTC). 일반적으로, BTC 또는 ETH가 기준 통화로 사용되며, 이는 주로 USD 또는 USDT와 같은 상대통화와 거래쌍을 이룹니다. 상술한 일반적인 거래쌍의 손익은 가격상대통화(USD 또는 USDT)로 정산되며, 선형 또는 바닐라 파생상품이라 부릅니다.
<인버스 예시>
데이비드는 10,000 BTC/USDT 계약의 롱포지션을 BTC 가격이 5,000 USDT일 때 진입했습니다.
[실제로는 데이비드가 10,000 USDT를 매도하고, 동등한 금액의 BTC인 2 BTC(10,000/5,000)를 매수하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데이비드가 10,000 BTC/USDT 계약의 롱포지션을 BTC 가격이 10,000 USDT 일 때 종료하기로 결정한다면
[마찬가지로, 데이비드는 실제로는 10,000 USDT 가치의 BTC/USDT 계약을 다시 매수하고, 동등한 금액의 BTC인 1 BTC(10,000/10,000)을 판매하는 것과 같습니다.]
\begin{align}
\small \textsf{롱포지션의 손익 } &\small= \textsf{상대통화의 진입가격} - \textsf{상대통화의 종료가격}\\
&\small=\textsf{2 BTC - 1 BTC}\\
&\small=\textsf{1 BTC}
\end{align}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