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자산청산(ADL) vs 집합손실
집합손실
집합손실은 계약 손실이 발생했을 때 포지션을 보유한 모든 트레이더가 해당 손실을 메우는 방식입니다. 포지션에 발생한 계약 손실을 보험 기금에서 충당하지 못할 경우 집합손실이 발동됩니다. 이는 높은 레버리지를 이용하는 단일 트레이더로 인해 저위험/위험 회피적 트레이더를 포함한 플랫폼 내의 전체 트레이더가 손실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
MCS는 집합손실의 리스크를 고려하여 더 많은 트레이더에게 이로운 방식인 자동자산청산(ADL) 시스템을 사용해 손실 최소화 메커니즘을 수행합니다. 나아가 MCS는 보험기금을 유연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자동자산청산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자산청산 (ADL: Auto Deleveraging)
자동자산청산(ADL)은 계약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보험기금이 해당 손실을 보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실행되는 손실 최소화 메커니즘입니다. 자동자산청산이 발동될 경우, 자동청산화 등급이 높은 트레이더의 포지션을 자동자산청산하여 손실을 메웁니다. 따라서 해당 시스템은 고배율을 사용하거나 수익률이 높은 트레이더 일부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통해 저위험 및 저레버리지를 사용하는 다른 트레이더가 단일 고위험 트레이더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트레이더는 자동청산화 등급을 확인하여 자신의 자동자산청산될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으며 레버리지를 줄이거나 일부 포지션을 종료하여 자동청산화 등급을 낮출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가 자동자산청산되었을 경우, 알림을 받게 되고 모든 활성화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자동자산청산이 이루어진 후, 트레이더는 메이커 수수료를 받으며 시장에 재진입 할 수 있습니다.
<자동자산청산 예시>
데이비드는 10배의 레버리지로 9,000.50 USDT에 10,000 BTC/USDT계약 롱 포지션을 매수했고 강제청산가격은 8,373 USDT입니다.
\begin{align}
\small \textsf{롱 포지션 파산가격 } & \small = {{\textsf{평균 진입가격} \times \textsf{레버리지}} \over \textsf{레버리지 + 1}} \\
&\small= \textsf{9,000.5}\times{\textsf{10}\over\textsf{10+1}}\\
&\small= \textsf{8,182.27273 USDT}\\
\tiny\\
&\small≈\textsf{8,183 USDT}
\end{align}
강제청산시 8,183USDT(파산가격) 보다 더 나은 가격으로 강제청산하지 못하고 포지션에 발생한 손실을 보험 기금에서 충당하지 못할 경우 포지션은 자동자산청산 됩니다.
아래 표에 나온 것처럼 숏 포지션이 6개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자동자산청산 랭킹이 가장 높은 트레이더 순서대로 자동자산청산이 됩니다. 자동자산청산 대상으로 선택된 포지션은 아래 표에 있는 트레이더 A의 파산가격으로 강제청산 됩니다.
위 표에 의하면 트레이더A의 자동자산청산 순위가 제일 높기 때문에 계약 10,000개는 8,183USDT(강제청산 포지션의 파산가격)으로 강제매칭되고 나머지 계약 200개는 보류됩니다. 자동자산청산이 끝난 후 트레이더A는 같은 증거금으로 비교적 적은 계약을 보유하고 있기에 자동자산청산에 노출되는 수량이 적어집니다. 마찬가지로 15,000 계약이 자동자산청산 되어야 할 경우에는 트레이더 A, B, C, D 모두 선택됩니다. 자동자산청산 대상으로 선택된 포지션은 메이커 리베이트를 받고 강제청산 트레이더는 테이커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