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증거금
유지증거금은 포지션을 계속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증거금입니다. 펀딩비 차감으로 인해 포지션의 증거금이 유지증거금에 닿으면 수익 중에 있더라도 강제종료됩니다. (계약마다 상이) 미실현손익이 음수가 되어 유지증거금에 닿으면 포지션은 강제청산됩니다. MCS는 BTC/USDT 무기한계약의 경우 0.35%를 기본 유지증거금률로 책정하고 있고 리스크 한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유지증거금률은 계약 세부 사항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지증거금 예시>
데이비드는 10배의 레버리지로 가격이 2,000 USDT 일 때 5,000 BTC/USDT 계약을 구매했습니다. 해당 포지션의 유지증거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begin{align} \scriptsize\textsf{유지증거금}&\scriptsize={\textsf{수량}\over\textsf{주문가격}}\times\textsf{유지증거금률}\\ \tiny\\&\scriptsize= {\textsf{5,000}\over\textsf{2,000}}\times\textsf{0.0035} = \textsf{0.00875 BTC}\end{align}
개시증거금
개시증거금은 트레이더가 포지션을 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증거금입니다. 개시증거금률에 포지션가치를 곱하면 개시증거금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개시증거금률은 1%이고 사용된 레버리지와 리스크 한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트레이더는 아래 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레버리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시증거금 예시>
데이비드가 5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50 BTC 가치의 포지션을 개시한다고 했을 때, 1 BTC만 사용하면 되고, 이 1 BTC를 개시증거금이라고 합니다.
종료 목적 주문의 개시증거금
이번에는 개시증거금의 예외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트레이더가 매수 및 매도 포지션/주문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 한해 그에 반대되는 주문을 냈을 때 개시증거금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새로 낸 주문은 종료의 목적으로 제출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포지션 방향의 반대 주문을 제출할 때, 계약 수량을 현재 보유중인 포지션의 수량 이하로 제출시 개시증거금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small \textsf{매수(롱) 포지션에 필요한 개시증거금} = {\textsf{계약 수량}\over{\textsf{MIN(지정가 매수 가격, 시장가격)}\times\textsf{레버리지}}}$$
주문 제출시 주문 가격은 포지션 개시/종료시의 수수료(0.075%)를 미리 적용하지만 거래 수수료는 주문이 체결될 시점의 가격으로 계산됩니다.
$$ \small \textsf{매도(숏) 포지션에 필요한 개시증거금} = {\textsf{계약 수량}\over{\textsf{지정가 매도 가격}\times\textsf{레버리지}}} $$
주문 제출시 주문 가격은 포지션 개시/종료시의 수수료(0.075%)를 미리 적용하지만 거래 수수료는 주문이 체결될 시점의 가격으로 계산됩니다.
활성화 주문이 존재할 경우, 시스템은 매수(롱) 및 매도(숏) 개시증거금 중 최대치를 사용하여 필요 개시증거금을 책정합니다.
$$ \small\textsf{max[매수(롱) 개시증거금, 매도(숏) 개시증거금]} $$
<종료 목적 주문의 개시증거금 예시>
현재 활성화 주문에서 매수(롱) 개시증거금 = 10 BTC, 매도(숏) 개시증거금 = 15 BTC 일 경우 필요한 개시증거금은 15 BTC 입니다.
추가 7 BTC 개시증거금만큼의 매수(롱) 주문을 제출할 경우, 총 필요한 개시증거금은 max(10+7, 15) = 17 입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증거금은 2 BTC (17-15) 입니다.
만약 추가 매수(롱) 주문의 개시증거금이 5 BTC 이하였을 경우, 추가 개시증거금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리스크 한도
리스크 한도는 고레버리지의 대량의 계약이 일시에 강제청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리스크 한도를 적용하게 되면 포지션의 가치가 높을 수록 필요한 개시증거금이 높아지게 되고,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레버리지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각 포지션은 리스크 한도 등급과 등급에 따른 유지증거금률을 가지게 됩니다. 포지션이 해당 리스크 한도 등급의 유지증거금을 충족하지 못하면, 현재 리스크 한도 등급보다 낮은 등급에 맞추어 부분 강제청산 됩니다. 이로 인해 트레이더는 자신의 포지션 전체가 일시에 강제청산되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는 한도 내에서 자신의 리스크 한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한도 계산 공식
$$\small\textsf{리스크 한도 등급}=max\left(0,1+interger\left(\frac{포지션\:가치-기준값}{단계값}\right)\right)$$
\begin{align}
&\scriptsize \textsf{기준값} : \textsf{가장 낮은 리스크 한도의 BTC 한도 (ex.} > \textsf{100 BTC)}\\
&\scriptsize \textsf{단계값} : \textsf{각 리스크 한도별 BTC 간격 (ex.} > \textsf{100 BTC)}\\
&\scriptsize \textsf{리스크 한도 등급} : \textsf{0부터 시작}
\end{align}
*리스크 한도
리스크 한도의 포지션가치는 현재 오픈한 포지션가치의 합산입니다.
$$ \small\textsf{포지션 가치} = {\textsf{수량}\over\textsf{시장평균가격}} $$
**비고: 시스템은 롱/숏 포지션가치의 합을 계산합니다.
<리스크 한도 조정 예시>
트레이더는 한도 내에서 자신의 리스크 한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거금이 부족할 경우 포지션 종료 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종료 후 리스크 한도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데이비드는 현재 100배 레버리지 150 BTC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60 BTC를 추가하여 210 BTC 가치의 포지션을 보유하고 싶다면, 기존 150 BTC포지션 종료 후 아래 리스크 한도표*에서 나오는 것과 같이, 210 BTC이 취할 수 있는 최대 레버리지를 66배, 유지증거금을 1.0%, 개시증거금의 비율을 1.5%에 해당하는 리스크 등급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이후 210 BTC에 대한 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격리마진
격리마진은 계약별로 다른 증거금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트레이더가 강제청산이 될 경우, 주문에 사용하지 않은 지갑 잔고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됩니다.
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산출 공식
롱 포지션 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 \small\textsf{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롱 포지션)} ={{\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레버리지}} \over \textsf{레버리지(1 - 유지증거금률) + 1}} $$
<롱 포지션 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예시>
데이비드가 2,000 USDT에 10배 레버리지로 롱 포지션을 취했을 경우,
$$ \small\textsf{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롱 포지션)} ={{\textsf{2000}\times\textsf{10}}\over\textsf{10(1-0.005)+1}}≈\textsf{1,826.48 USDT}$$
숏 포지션 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 \small\textsf{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숏 포지션)} ={{\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레버리지}} \over \textsf{레버리지(1 + 유지증거금률) - 1}} $$
<숏 포지션 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예시>
데이비드가 2,000 USDT에 10배 레버리지로 숏 포지션을 취했을 경우,
$$ \small\textsf{격리마진 강제청산가격 (숏 포지션)} ={{\textsf{2000} \times \textsf{10}} \over \textsf{10(1 + 0.005) - 1}} ≈ \textsf{2,209.94 USDT}$$
교차마진
교차마진은 사용 가능한 전체 지갑 잔고를 이용하여 거래를 하는 방식입니다. 교차마진에서의 최대 계약 크기는 거래쌍에 허용된 최대 레버리지에 의해 정해집니다. 레버리지는 포지션의 개시증거금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즉, 개시증거금이 커질 수록 트레이더가 이용 가능한 레버리지는 낮아집니다. 또한 유지증거금에 닿게 되면 포지션은 강제청산 됩니다. 교차마진에서 레버리지는 자동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트레이더가 임의로 레버리지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교차마진 예시>
데이비드가 50 BTC를 지갑 잔고에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교차마진으로 5 BTC를 공매수하면 10배, 10 BTC를 공매수하면 레버리지는 5배로 자동으로 변합니다.
교차마진 강제청산가격 산출 공식
롱 포지션 교차마진 강제청산가격
$$\small\textsf{교차마진 강제청산가격 (롱 포지션)}$$
$$\small= {{\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수량}}\over{\textsf{수량(1 - 유지증거금률} - {\textsf{평균진입가격}\times\textsf{테이커 수수료율}\over\textsf{파산가격*}})+{\textsf{사용 가능 잔고**}\times\textsf{평균진입가격}}}}$$
\begin{align}\scriptsize\textsf{*교차마진 파산가격 (롱 포지션)} = {\textsf{1.00075}\times\textsf{계약수량}\over{{\textsf{계약수량}\over\textsf{평균진입가격}}+ \textsf{사용 가능 잔고}}}\qquad \scriptsize\textsf{**사용 가능 잔고}=\textsf{지갑잔고}-\textsf{타 포지션 증거금}-\textsf{주문 증거금}\end{align}
숏 포지션 교차마진 강제청산가격
$$\small\textsf{교차마진 강제청산가격 (숏 포지션)}$$
$$\small={{\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수량}} \over {\textsf{수량(1 + 유지증거금률} + {\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테이커수수료율} \over \textsf{파산가격*}}) - {\textsf{사용 가능 잔고**}\times\textsf{평균진입가격}}}}$$
\begin{align}\scriptsize\textsf{*교차마진 파산가격 (숏 포지션)} ={\textsf{0.99925}\times\textsf{수량}\over{{\textsf{수량}\over\textsf{평균진입가격}} - \textsf{사용 가능 잔고}}}\qquad\textsf{**사용 가능 잔고}=\textsf{지갑잔고}-\textsf{타 포지션 증거금}-\textsf{주문 증거금}\end{align}
주문증거금
주문증거금은 미체결 주문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증거금입니다. 트레이더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미체결 주문의 개시증거금과 테이커 종료 수수료를 더하면 주문증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문증거금 공식
\begin{align}
&\small \textsf{주문증거금} = \textsf{개시증거금* + 테이커 종료 수수료**}\\
\scriptsize\\
&\scriptsize\textsf{*개시증거금} = {({\textsf{계약수량} \times \textsf{거래승수}}) \over ({\textsf{평균진입가격} \times \textsf{레버리지}})}\\
&\scriptsize \textsf{**테이커 종료 수수료} = {{\textsf{수량} \times \textsf{거래승수}} \over \textsf{주문 가격으로 계산된 파산가격}} \times \textsf{테이커 수수료율}
\end{align}
포지션증거금
포지션증거금은 현재 실시간 포지션의 증거금을 의미합니다. 즉, 미실현손익 (UPNL) 혹은 미실현수익을 포함한 현재 포지션의 증거금입니다. 포지션증거금을 산출하는 방법은 격리마진과 교차마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포지션증거금 공식
격리마진 (Isolated Margin)
$$ \small\textsf{포지션 증거금 (격리)} = \textsf{개시증거금} + \textsf{테이커 종료 수수료} + \textsf{미실현손익} $$
교차마진 (Cross Margin)
$$ \small\textsf{포지션 증거금 (교차)} = \textsf{개시증거금} + \textsf{테이커 종료 수수료} + \textsf{미실현수익} $$
\begin{align}
&\scriptsize\textsf{개시증거금} &&\scriptsize= {{\textsf{수량} \times \textsf{거래승수}} \over {\textsf{평균 진입가격} \times \textsf{레버리지}}}\\\\
&\scriptsize\textsf{테이커 종료 수수료} &&\scriptsize= {{\textsf{수량} \times \textsf{거래승수}} \over \textsf{주문 가격으로 계산된 파산가격}} \times \textsf{테이커 수수료율}
\end{align}
댓글
댓글 0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